애드센스 수익 종합소득세 신고를 마쳤다.
원래 신고하던 쇼핑몰 + 프리랜서 소득에
애드센스 소득에 대한 업종코드 하나 추가해서
다 같이 한 번에 했다.
애드센스 업종코드는 940306으로 했는데
왜 이 코드로 했는지는 아래 글에서
자세히 확인해보실 수 있다.
필요경비 항목도 넣고 공제까지 받았다.
(물론 공제가 필요없을 정도의 소득이긴 했으나)
많지도 않은 소득이지만
개인의 모든 금융 기록을 볼 수 있는
국세청에서 나중에 꼬투리 잡을까봐
좀 번거로웠어도 결국 신고했다.
애드센스 수익 합쳐서 작년 총 수익
7500만원 안 넘으시는 분은
이 글만 따라하시면 애드센스 수익
종합소득세 신고 금방 끝낼 수 있다고 장담한다.
QnA
달러로 신고? 원화로 신고?
원화(한국 돈 단위) 로 신고
*환율계산법 아래 간단 설명
애드센스 수익도
공제 받을 내역(필요경비)이 있나?
곰곰히 생각해보면 블로그 글쓰기나
유튜브 영상을 찍기 위해
사용한 비용이 분명히 있다.
유튜버 분들은 주로 카메라, 마이크 등
장비 구입비를 필요경비로 많이 올리고
소프트웨어 구입비 (어도비 등 결제 금액)
를 필요경비로 올릴 수 있다.
나는 작년에 아이패드 구입한 비용과
공유오피스 결제한 비용을
애드센스 필요경비로 올렸고
공제 받았다.
(글 아래 자세히 설명)
종합소득세 애드센스 신고
애드센스 소득 종합소득세 신고를 위해서
정리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애드센스 수익 입금 내역
(날짜 / 입금액 필수) 취합
2. 이체일 환율 체크
3. 이체일 환율 x 달러 입금액 = 원화
(원화로 바로 입금 받은 분은 2~3번 생략 가능)
4. 간편장부 '매출액'항목으로 정리
4-1. (있다면) 필요경비 내역 작성
5. 홈택스 신고
단계로 나누니 뭐가 많아 보이는데
사실 별거 없다.
1년간 얼마 입금 받았는지만
원화로 체크해두면 된다.
여기까지 하면 애드센스 수익을
종합소득세 신고할
준비는 다 끝난것이다.
마음 먹으면 1시간도 안 걸려서
끝낼 수 있는 과정이다.
1. 외화 입금 내역 확인
작년에 애드센스 입금 받은 내역을
캡쳐하거나 바로 엑셀에 정리해두자.
원화로 바로 받는 분들도 계시던데
나는 달러로 받기 때문에 엑셀에 정리하고
입금날짜 환율 체크를 해야만 했다.
홈택스에는 달러 단위 입금이 불가능하기에
달러로 받은 분은 아래 입금당시 환율 체크 과정을
꼭 거쳐야한다.
2. 이체일 환율 체크
입금 받았던 당시의 환율로
원화를 계산해서 신고를 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 환율 조회를 해봐야하는데
'하나은행 환율' 이라고 검색하면
이렇게 바로 과거 환율 조회 가능한 페이지가 나온다.
1년에 열두 번 입금 받으니
간단하게 열두 번만 체크하면 된다.
생각보다 금방 끝난다.
애드센스에서는 매월 21~22일에
입금했다고 이메일을 보내오는데
SC제일은행에서 실제 내 외화 통장으로
입금 처리해주는건
23~25일에 주로 해주는 것 같다.
3. 이체일 환율 x 실제 입금액 = 원화
애드센스 송금일 환율로 계산해서
간편장부 매출액으로 넣기
이렇게 보니 2022년 9~10월이 환율 황금기이긴했다.
저때 다 환전했어야하는데 ㅋ 계속 오를줄 알았지..
4. 간편장부 작성
이제 간편장부를 작성해야한다.
사실 필요경비 처리할 게 없다면
1년치 원화 입금액 총액만 알고 있어도
홈택스 신고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필요경비 처리할 거 없는 분은 아래 부분 패스~
나는 작년에 산 아이패드와
공유오피스 다녔던 비용을
애드센스 필요경비 항목으로
넣기 위해서 간편장부를 작성했다.
【 장부 】에 날짜/ 상호 / 공급대가 / 계정과목 채워 넣으면
아래처럼
【 간편장부 】에 항목별 합계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나온다.
이것만 있으면 이제 홈택스 신고는
식은 죽 먹기이다.
*참고로 이 장부를 실제 홈택스에 제출하는건 아니고
이 장부를 토대로 홈택스에 각종 수치를
입력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이다.
대신 사실을 토대로 제대로 만들어야하고
5년간 각종 증빙과 함께 이 파일을
잘 갖고 있어야한다.
종합소득세 셀프 신고 도전하실 분은
아래 글만 보시고 따라하면
하루~이틀 안에 후다닥 다 끝내실 수 있다.
간편장부 신고자는 간편장부 작성이
종소세 신고의 8할을 차지 한다.
이것만 해두면 정말 금방 끝난다.
5. 홈택스 신고
위의 간편장부 내용 그대로
홈택스에도 입력하면 된다.
· 매출액 (애드센스 연간 총수익)
· 임차료 (필요경비)
· 소모품비 (필요경비)
아까 간편장부에 입력한 내용 그대로
홈택스 화면에 입력했다.
애드센스 소득 관련 신고는 이렇게 하면 끝이다.
물론 이 화면에 오기 전까지
두 페이지 정도 직접 입력(업종코드 추가 등)
하는게 있는데 아래 글에
홈택스 애드센스 신고 과정을 상세히 담았다.
애드센스 필요경비
애드센스 필요경비로 잡을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 하다가
- 아이패드 구입비용
- 공유오피스 / 스터디카페 사용료를
필요경비 내역으로 올렸다.
위의 마지막 캡쳐를 확인해보시면
소모품비, 임차료 항목에 있는 비용이
아이패드 구입비와 공유오피스 이용료를
넣은 것이다.
업무를 위해 지출한 모든 증빙을
필요경비로 정리하면
내가 내야할 세금이 줄어든다.
소득세 절감에 필수,
'경제 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택스 종합소득세 애드센스 업종코드 추가하고 종소세 신고 하는 방법 (0) | 2023.05.17 |
---|---|
종합소득세 신고 제출 후 오류·경고 메시지 해결 방법 (0) | 2023.05.15 |
대출 3억 월 지출 얼마? 우리은행 주택담보대출 3가지 상환금액 비교 (0) | 2023.05.06 |
애드센스 종합소득세 사업소득 vs 기타소득 정리해드림 +업종코드 있음 (0) | 2023.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