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관세사 연봉 시험일정 후기 현실 업무강도 후회 여부 알아보자

by #$!@))#( 2023. 6. 28.

관세사 연봉 얼마나 될까. 공부한게 억울해서라도 연봉을 많이 받아야할 것만 같은 자격증이다. 일단 시험에 붙고나면 전문 자격사로서 승승장구할 기회가 많은 관세사 자격증시험 난이도, 합격률, 연봉과 현실, 합격자들의 상세한 후기 그리고 연간 시험일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관세사 연봉



관세사 연봉은 초봉 2천4백~3천만원대로 일반 중소기업의 초봉과 비슷한 수준이다. 전문 자격사의 초봉으로는 적다고 느낄 수도있지만 관세사 경력을 조금만 쌓기 시작하면 중소기업 연봉 인상과 비교도 안될정도로 빠른 연봉 인상이 가능하다. 

 

관세사 5년차의 연봉은 5천만원 정도이고 경력별 더 자세한 관세사 연봉 정보는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  HRD-net 에서 채용 공고와 함께 확인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홈페이지-바로가기-배너

HRD-net 접속 >  메인 검색창에 [관세사]입력 >  스크롤 내려서 [일자리정보] 확인   

 

실제 현시점 연봉에 대해서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살펴보시는 게 가장 정확하다. 

 

 

 

관세사 시험일정



관세사 시험일정 1차 2차
접수기간 23.02.06 ~ 02.10  23.02.06 
빈자리접수기간  23.03.02 ~ 03.03 23.03.02 ~ 03.03
시험일 23.03.11 23.06.24
합격자 발표  23.04.12 ~ 06.10 23.10.18 ~ 12.16

2023년의 시험일정이지만 매년 접수 기간과 시험일 등 전체적인 시기는 거의 비슷하다고 보면된다. 관세사 시험일정은 접수부터 시험, 합격자발표까지 텀이 매우 긴편이다. 1년에 2회밖에 기회가 없으니 다가오는 관세사 시험일정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겠다. 

 

접수기간은 5일, 시험일은 단 하루이다. 매해 수천 명이 응시하는 관세사 시험 접수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접수기관인 큐넷에서 시험 빨리 접수하는 방법을 확인해보자. 

 

 

 

큐넷 접수 빨리하는 법

 

 

 

관세사 난이도

 

관세사 시험은 1차 필기, 2차 실기인데 1차 합격률은 날이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이다. 1차 시험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이다. 대신 2차 논술 시험 합격률은 2018년 6.6%였는데 2022년 합격률은 21.7%로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다. 일단 1차를 합격하고 보는게 중요한 시험이다. 

 

관세사-난이도-합격률
전반적인 합격률이 타 시험에 비해(30~50%) 낮은 편이다.


관세사 자격증을 따기로 마음 먹었으면 보통 3년 정도 공부한 뒤 합격하는 경우가 많다. 공부량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학원 다니며 공부하고 스터디도 하고 하루에 12시간씩 관세사 공부에 올인해서 붙은 합격자 후기도 있다.

 

독학보다는 국비지원 학원에 다니면서 학원비를 아끼거나 스터디를 만들어서 공부 노하우를 서로 공유하며 공부할 때 합격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사 현실

"자격증 취득후 보통 관세법인이나 법부법인에서 관세사로 취업, 드물지만 바로 개업하기도 한다. 관세 공무원을 준비하는 경우도 많다. 개업과 공무원 준비의 발판으로 삼는 사람도 많다." 

초반에는 사무직 업무 아닌 외근을 주로 한다. 물류 창고 방문해서 제품을 체크하고 서류 제출하러 관공서 다니는 일이 많다. 수입 업체에 어떤 원료는 수입이 안되고, 통관이 안되는지 교육하는 외근도 많이 다닌다.  

위기 관리 능력이 있으면 유리한 직업이 관세사이다. 수출입 업체에서 제대로 확인을 안하고 일단 제품을 수입하고들 수출하면서 변수가 많이 생긴다. 빠르고 능동적인 대처를 위해 세관을 설득하고 통관시키는 능력이 필요하다.

 

  관세사 후회

처음에는 화이트 칼라 업무라고 생각해 잘 차려입고 서류 처리하는 것만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외근이 많고 변수가 많아서 야근도 많다.

 

자격증 따기가 힘든 것에 비해서 처음에는 박봉에 힘들게 느껴지지만 관세사 경력 좀 쌓으면 웬만한 월급쟁이보다 더 좋은 대우를 받고 전문적인 일을 할 수 있다. 일반 회사원으로 경력 쌓는것보다는 전문 경력을 인정 받으면서 연차를 쌓아나갈 수 있는 게 관세사의 매력이다. 

관세사 자격증 취득이 어렵고, 초반에 일 배우느라 고생은 좀 하지만 연차가 쌓이면 법인기업으로 이직해서 연봉을 몇천만 원 단위로 올려받기도 한다. 좋은 조건으로 이직, 전문가경력 쌓기, 관세공무원의 발판, 창업의 계기로 다져놓기에 이만큼 좋은 직업이 없다.

공부할게 많아도 연차 쌓이면 이만큼 좋은 직업도 흔치 않아보인다. 관세사 자격증 취득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고용노동부 HRD-net 에서 국비지원 수업을 알아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