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내일배움카드 클래스101 인강 복습 수강권 사용법

by #$!@))#( 2022. 8. 29.

내일배움카드로 듣던 클래스101 언리얼엔진 과정은 2주 전에 종강했다. 그런데 2주 뒤인 어제 종강한 과정을 다시 수강할 수 있다며 복습수강권 코드 이메일이 왔다. 안 그래도 몰아듣느라 제대로 못 들어서 속상했는데 다시 듣게 해준다니.. 게다가 복습 기간이 8주(56일)이라서 기간도 아주 넉넉하다.

 

 

내일배움카드 클래스101 강의 

- 생각보다 부드러운 분위기의 수업 

- 시기에 맞는 수업 내용 +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 

- 출석과 수강기한은 일반 강의보다 엄격함 

- 내일배움카드 인강은 클래스101 앱에서 수강 불가 

강의를 다 들어보니 내일배움카드라서 왠지 딱딱하기만 할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다. 클래스101 일반 강의를 몇 개 들어봤는데 내일배움카드 강의도 일반 강의들과 비슷하다. 쉽고 재미있게 기초부터 천천히 설명해주는 점이 좋다.​

 

그래도 3D프로그램인 언리얼엔진은 한 번 듣고 다 따라하고 100% 이해하기엔 어려웠는데 이렇게 복습 수강권을 주니 감개무량하다. 

 

내일배움카드 복습수강권 

  • 종강 후 2주 뒤에 이메일 받은 뒤부터 복습 가능 
  • 복습수강권 코드 등록한날로부터 56일 (8주)간 복습 수강 가능 
  • 클래스101 앱에서도 수강 가능 (수료 전에는 PC에서만 시청 가능 )

 

종강 후 2주 뒤에 온 클래스101 복습수강권

 

 

복습할 때는 모바일 앱 시청 가능 

내일배움카드 인강은 모바일에서 수강을 할 수 없어 불편함을 느꼈는데 복습수강할 때는 클래스101 앱에서도 볼 수 있는 점이 좋다. 

 

 

 

내일배움카드 클래스101 인강 

복습수강권 등록 방법

​​​



클래스101 로그인하고 【마이페이지】로 들어간다.

 

 


마이페이지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리면 내가 찜한 상품목록 아래 【수강권 코드 등록】이라는 회색바가 나오는데 이걸 선택하자.

 


【수강권 코드 등록하기】 화면이 나온다.
이메일로 받은 8자리의 코드를 입력한다.

썸네일

 

 

완강했던 내일배움카드 클래스101 인강을 이제 8주간 다시 볼 수 있게 됐다.



수강권코드를 등록한 날부터 8주 기간이 시작되므로 다른거 하느라 복습수강을 좀 미루고 싶다면 늦게 등록해도 된다.

수강권 코드 등록 기한은 제한이 없다.

아이패드에서는 볼 수 있는 클래스101 내일배움카드 인강

참고로 클래스101 강의는 보는 중에 화면 캡쳐가 안된다. 저작권 문제가 생기는걸 방지하기 위해서이겠지.

근데 사실 언리얼엔진같은 3D 수업은 직접 따라해보면서 보는게 좋으니 그냥 PC로 보는 것을 더 추천한다.

 


내일배움카드 온라인 사용처

예전 계좌제 시절에는(대체 언제적이야 ㅋㅋ) 컴퓨터 관련 프로그램을 배우고 싶으면 그린컴퓨터, SBS컴퓨터아카데미, 하이미디어 (버스 라디오 광고에서 지겹게 듣던 이름) 컴퓨터 아트학원 이런데를 찾아가서 상담하고 등록했어야하는데 국민내일배움카드로 바뀌고 난 뒤에는 고용노동부가 이런 온라인 강의 전문 플랫폼과 더 제휴를 많이 맺고 있는 것 같다.



거기에 불과 2~3개월 전보다 내일배움카드로 클래스101 에서 들을 수 있는 강의 갯수가 더 늘어났으니 배우고 싶은 과정이 있는지 한 번 훑어보자. 세상에서 제일 남는 투자가 나의 성장과 배움에 대한 투자이다.

 

 

클래스101 내일배움카드 수업 모음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처 클래스101 국비지원 수업 모음 자비부담 환급까지

국민내일배움카드 사용처가 된 클래스101. 온라인 강의업계에서 가장 핫하고 믿음직한 클래스101. 메타버스, 디지털의 배움이 중요해진 시대에 클래스101의 수준 높은 강의를 이제 국비지원으로

beyondtheline.tistory.com

내일배움카드 패스트캠퍼스 수업 종류

 

국민내일배움카드 패스트캠퍼스 수업 종류, 수강료까지

이제 패스트캠퍼스 수업도 국비로 듣는다 웹 개발자 부족 현상 때문일까, 국비로 지원해서 개발자를 양성하려는 나라의 의도일까, 이제 내일배움카드로 패스트캠퍼스 수업까지 국비지원 받아

beyondtheline.tistory.com

댓글